CC 2.3과 CC 3.1의 보증수준별 상대적 평가업무량 배율 추정

Vol. 17, No. 4, pp. 61-74, 8월. 2007
10.13089/JKIISC.2007.17.4.61, Full Text:
Keywords: 평가업무량, 평가수수료, CC(Common Criteria)
Abstract

공통기준(CC) 평가체계에서 평가신청인과 평가자는 평가프로젝트를 계약할 때 정보보호시스템의 평가비용과 기간을 산정해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2003년과 2005년에 수행한 연구 결과들을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의 일부분을 활용하여, CC 2.3과 CC 3.1의 평가보증수준($EAL1{\sim}EAL7$)간의 상대적 평가업무량 배율을 실험조사적으로 산정했다. 또한, 각 보증 컴포넌트에 대해 '개발자요구사항', 조정된 '증거요구사항', '평가자요구사항'으로부터 배율을 산정하였고, 특히, 2003년에 KISA 평가 자료로부터 구한 평가자요구사항별 업무량배율을 사용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새로운 CC 3.1 평가체계에서 특정한 EAL과 제품유형에 대한 평가비용과 기간을 예측해야하는 평가신정인과 평가프로젝트 관리자에게 유용할 것이다.

Statistics
Show / Hide Statistics

Statistics (Cumulative Counts from December 1st, 2017)
Multiple requests among the same browser session are counted as one view.
If you mouse over a chart, the values of data points will be shown.


Cite this article
[IEEE Style]
K. Kou, Y. Kim, G. Lee, "Estimation of relative evaluation effort ratios for each EALs in CC 2.3 and CC 3.1,"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vol. 17, no. 4, pp. 61-74, 2007. DOI: 10.13089/JKIISC.2007.17.4.61.

[ACM Style]
Kab-Seung Kou, Young-Soo Kim, and Gang-Soo Lee. 2007. Estimation of relative evaluation effort ratios for each EALs in CC 2.3 and CC 3.1.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17, 4, (2007), 61-74. DOI: 10.13089/JKIISC.2007.17.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