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유출 확신도 도출을 위한 전문가시스템개발

Vol. 19, No. 4, pp. 125-136, 8월. 2009
10.13089/JKIISC.2009.19.4.125, Full Text:
Keywords: privacy violation
Abstract

개인정보 유출을 위한 공격자의 시도는 다양한 보안 시스템에 로그를 남기게 된다. 이러한 로그정보들은 개인정보 유출에 관여했다고 보고된 특정 IP 주소에 대한 확신도를 도출하기위한 요소가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보편적으로 활용 가능한 보안 시스템들의 로그정보들을 기반으로 확신도를 도출하기 위한 규칙기반 전문가 시스템의 섣계 및 구현을 다루고 있다. 일반적으로 개인정보유출과 연관된 다양한 로그정보들은 개인정보 관리자에 의해서 분석되어, 의심 대상이 되는 IP 주소에 대해 정보유출에 관여한 정도를 도출하게 된다. 이러한 개인정보 관리자가 수행하는 분석절차는 전문가의 축적된 지식 (Know-how)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규칙 형태로 정의되어 분석절차의 자동화에 활용될 수 있다. 특히, 개인정보유출과 관련된 로그정보의 분석 범위는 다양한 해킹시도를 탐지 해내야하는 침입탐지 및 대응 분야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넓지 않다. 따라서 도출해내야 하는 규칙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많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IDS. Firewall 및 Webserver 의 로그정보들을 개인정보유출의 관점에서 상호 연관성을 도출하였고, 이러한 연관성을 기반으로 규칙을 정의하고 이들을 생성/변경/삭제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해당하는 규칙기반 지식베이스 및 전문가 시스템은 개인정보유출에 관여 했다고 여겨지는 특정 IP 주소에 대한 낮은 수준(Low-level)의 검증을 수행하여 확신도를 도출하는데 활용이 가능하다.

Statistics
Show / Hide Statistics

Statistics (Cumulative Counts from December 1st, 2017)
Multiple requests among the same browser session are counted as one view.
If you mouse over a chart, the values of data points will be shown.


Cite this article
[IEEE Style]
J. Kim, A. Lee, H. Kim, J. Hwang, "Rule-base Expert System for Privacy Violation Certainty Estimatio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vol. 19, no. 4, pp. 125-136, 2009. DOI: 10.13089/JKIISC.2009.19.4.125.

[ACM Style]
Jin-Hyung Kim, Alexander Lee, Hyung-Jong Kim, and Jun Hwang. 2009. Rule-base Expert System for Privacy Violation Certainty Estimatio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19, 4, (2009), 125-136. DOI: 10.13089/JKIISC.2009.19.4.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