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 공격 대비 가동 물리장치에 대한 실시간 간접 상태감시시스템 설계 및 구현

Vol. 29, No. 6, pp. 1447-1461, 12월. 2019
10.13089/JKIISC.2019.29.6.1447, Full Text:
Keywords: Combat Assessment, Cyber Battle Damage Assessment, Cyberspace, Cyber Attack
Abstract

전쟁수행 간 선정된 표적에 대한 공격 실행 후 전투피해를 평가하는 것은 현대전에서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하지만아직까지 사이버공격에 따른 전투피해평가 방안은 제한적인 상황 하에서 가능한 방법들만이 제안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이버공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전투평가 이론상의 전투피해평가 방법에 근거하여 군사적으로 적용 가능한 포괄적이고 구체적인 전투피해평가 방안을 제시하였다. 사이버공간 구성 요소를 이용하여 사이버 표적을 분류하고 이를 대상으로 기존의 전투피해평가 방법인 물리적 피해평가, 기능적 피해평가, 표적체계 평가 외 데이터 피해 평가, 사회인식적 피해 평가, 파생적 피해평가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과거의 실제 사이버 공격 사례에 적용이 가능함을예시하였다.

Statistics
Show / Hide Statistics

Statistics (Cumulative Counts from December 1st, 2017)
Multiple requests among the same browser session are counted as one view.
If you mouse over a chart, the values of data points will be shown.


Cite this article
[IEEE Style]
장원구 and 이경호, "A Study on the Assessment Method of Battle Damage in Cyberspace by Cyberattack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vol. 29, no. 6, pp. 1447-1461, 2019. DOI: 10.13089/JKIISC.2019.29.6.1447.

[ACM Style]
장원구 and 이경호. 2019. A Study on the Assessment Method of Battle Damage in Cyberspace by Cyberattack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29, 6, (2019), 1447-1461. DOI: 10.13089/JKIISC.2019.29.6.1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