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와 태그 비동기시에도 효율적으로 검색이 가능한 해시기반 RFID 인증 프로토콜

Vol. 21, No. 5, pp. 71-82, 10월. 2011
10.13089/JKIISC.2011.21.5.71, Full Text:
Keywords: RFID, Mutual Authentication, Security, Privacy
Abstract

RFID 시스템은 여러 장점을 가지며 다양한 곳에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RFID 시스템은 무선통신과 저가 태그의 사용으로 인해 도청, 재전송 공격, 메시지 탈취, 태그에 대한 물리적 공격에 취약하다. 이런 공격들은 태그와 리더 사칭, 태그 무능화를 통한 서비스 거부공격, 태그 소지자의 위치 추적등을 유발한다. 이런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수의 RFID 인증 프로토콜이 제안되었다. 특히 Weis, Sarma, Rivest, Engels이 해시 기반 RFID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한 이래로, 많은 해시 기반 RFID 인증 프로토콜이 제안되었고 최근의 해시 기반 프로토콜은 보안성과 만족할 만한 수준의 프라이버시를 제공한다. 그러나 보안성과 만족할 만한 수준의 프라이버시를 제공하는 동시에 서버에서의 태그 인식 시간을 줄이는 것은 여전히 풀리지 않는 문제다. 이에 우리는 태그가 이전 통신 상태에 따라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는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그 결과 보안성과 프라이버시를 보장하는 동시에 서버에서 합리적인 시간안에 태그를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안하는 프로토콜은 세션키와 롱텀 고정키를 모두 사용해서 이전 세션이 비정상 종료 된 경우에 비슷한 수준의 안전성을 제공하는 기존의 연구결과에 비해 태그 인식시간이 50%로 절감한 효과를 제공한다.

Statistics
Show / Hide Statistics

Statistics (Cumulative Counts from December 1st, 2017)
Multiple requests among the same browser session are counted as one view.
If you mouse over a chart, the values of data points will be shown.


Cite this article
[IEEE Style]
H. Kwon, H. Kim, S. Jeong, S. Kim, "Hash-based Authentication Protocol for RFID Applicable to Desynchronization between the Server and Tag with efficient searching method,"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vol. 21, no. 5, pp. 71-82, 2011. DOI: 10.13089/JKIISC.2011.21.5.71.

[ACM Style]
Hye-Jin Kwon, Hae-Mun Kim, Seon-Yeong Jeong, and Soon-Ja Kim. 2011. Hash-based Authentication Protocol for RFID Applicable to Desynchronization between the Server and Tag with efficient searching method.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21, 5, (2011), 71-82. DOI: 10.13089/JKIISC.2011.21.5.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