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통합보안시스템 구축 방안 연구

Vol. 22, No. 3, pp. 575-584, 6월. 2012
10.13089/JKIISC.2012.22.3.575, Full Text:
Keywords: Integrated security, Security Management, Facilities securit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security, Terrorism, Security accident
Abstract

군의 정보화, 과학화 추진에 따른 환경 변화에 따라 기존 수작업, 오프라인 중심의 제반 군사보안 업무도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업무 수행을 지원할 수 있도록 변화와 발전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요 군사보안 업무 분야에 대한 실태 및 문제점 분석과 미국, 영국 등의 사례 분석을 기반으로, 주요 군사보안 업무를 자동화, 정보화하기 위한 국방통합보안시스템 구축 표준 Model을 제시하였다. 표준 Model은 통합보안체계, 비밀관리시스템, 인원출입 시스템, 차량출입시스템, 첨단경계시스템, 테러 예방시스템 및 보안사고분석시스템 등의 단위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현재 가용한 기술 및 시스템을 기반으로 제안하였는데, 이를 각급부대에 적용할 경우 군사보안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Statistics
Show / Hide Statistics

Statistics (Cumulative Counts from December 1st, 2017)
Multiple requests among the same browser session are counted as one view.
If you mouse over a chart, the values of data points will be shown.


Cite this article
[IEEE Style]
W. Jang, J. Choi, J. Lim, "A study on method of setting up the defense integrated security system,"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vol. 22, no. 3, pp. 575-584, 2012. DOI: 10.13089/JKIISC.2012.22.3.575.

[ACM Style]
Worl-Su Jang, Jung-Young Choi, and Jong-In Lim. 2012. A study on method of setting up the defense integrated security system.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22, 3, (2012), 575-584. DOI: 10.13089/JKIISC.2012.22.3.5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