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tive API 의 효과적인 전처리 방법을 이용한 악성 코드 탐지 방법에 관한 연구

Vol. 22, No. 4, pp. 785-796, 8월. 2012
10.13089/JKIISC.2012.22.4.785, Full Text:
Keywords: Malicious Code, Intrusion Detection System, GLDA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악성코드의 시스템 콜 빈도수를 특징값으로 행위 기반 탐지(behavior-based detection)를 할 때, 시스템 콜의 속성 개수보다 학습데이터 개수가 적더라도 효과적으로 악성 코드를 탐지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이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코드가 동작할 때, 발생시키는 윈도우 커널 데이터인 Native API를 수집하여 빈도수로 정규화한 것을 기본적인 속성 값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악성코드와 정상 코드를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으면서, 악성코드를 분류하기 위한 기본적인 속성의 개수보다 학습데이터 개수가 적어도 적용 가능한 GLDA(Generalized Linear Discriminant Analysis)를 사용하여, 새로운 속성 값들로 전환하였다. 분류 기법으로는 베이지언 분류법의 일종인 kNN(k-Nearest Neighbor) 분류법을 이용하여 악성 코드를 탐지하였다. 제안된 탐지 기법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집된 Native API 로 기존의 연구 방법과 비교 검증하였다. 본 논문에 제안된 기법이 탐지율(detection rate) 100%인 Threshold 값에서, 다른 탐지 기법보다 낮은 오탐율(false positive rate)을 나타내었다.

Statistics
Show / Hide Statistics

Statistics (Cumulative Counts from December 1st, 2017)
Multiple requests among the same browser session are counted as one view.
If you mouse over a chart, the values of data points will be shown.


Cite this article
[IEEE Style]
S. Bae, J. Cho, T. Shon, J. Moon, "Malicious Code Detection using the Effective Preprocessing Method Based on Native API,"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vol. 22, no. 4, pp. 785-796, 2012. DOI: 10.13089/JKIISC.2012.22.4.785.

[ACM Style]
Seong-Jae Bae, Jae-Ik Cho, Tae-Shik Shon, and Jong-Sub Moon. 2012. Malicious Code Detection using the Effective Preprocessing Method Based on Native API.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22, 4, (2012), 785-796. DOI: 10.13089/JKIISC.2012.22.4.7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