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플래시 메모리 이미지 내의 단편화된 페이지 분석 기법 및 구현

Vol. 22, No. 4, pp. 827-840, 8월. 2012
10.13089/JKIISC.2012.22.4.827, Full Text:
Keywords: Digital Forensics, Smartphone Forensics, flash memory, Unallocated Area, Fragmented Data
Abstract

휴대폰은 개인의 생활과 가장 밀접한 디지털 기기로 디지털 포렌식 수사 시에 반드시 고려해야 할 대상이 되고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데, 스마트폰은 피처폰과는 달리 일반 PC와 유사한 고성능의 운영체제(Android, iOS 등)를 사용하면서 다양한 모바일 앱(app)을 통해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기능을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디지털 포렌식 관점에서 스마트폰의 사용 흔적을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이 중요해짐에 따라서 전세계적으로 스마트폰 포렌식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스마트폰 내의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백업 또는 디버깅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 파일을 추출하거나, 운영체제의 루트(root) 권한을 획득하여 플래시 메모리에 대한 이미지를 수집한 후에 파일시스템(YAFFS, EXT, RFS, HFS+ 등)을 재구성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파일 이외에 삭제되거나 플래시 메모리 페이지의 데이터가 수정되면서 생성될 수 있는 잉여 데이터에 대한 분석에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으로부터 획득한 플래시 메모리 이미지 내의 단편화된 페이지(fragmented pages)를 분석하는 기법을 소개한다. 이를 통해 플래시 메모리 페이지의 스페어 영역(spare area)이 없어서 파일시스템의 재구성이 불가능한 이미지 또는 정상적인 파일시스템의 비할당 영역에 속하는 임의의 페이지들에 대한 효과적인 분석 방법을 제시한다.

Statistics
Show / Hide Statistics

Statistics (Cumulative Counts from December 1st, 2017)
Multiple requests among the same browser session are counted as one view.
If you mouse over a chart, the values of data points will be shown.


Cite this article
[IEEE Style]
J. Park, H. Chung, S. Lee, Y. So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alysis Techniques for Fragmented Pages in the Flash Memory Image of Smartphon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vol. 22, no. 4, pp. 827-840, 2012. DOI: 10.13089/JKIISC.2012.22.4.827.

[ACM Style]
Jung-Heum Park, Hyun-Ji Chung, Sang-Jin Lee, and Young-Dong Son. 2012.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alysis Techniques for Fragmented Pages in the Flash Memory Image of Smartphon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22, 4, (2012), 827-840. DOI: 10.13089/JKIISC.2012.22.4.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