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개인정보보호정책 비교 분석 - 개인정보보호 법률과 전담조직을 중심으로 -

Vol. 22, No. 4, pp. 923-944, 8월. 2012
10.13089/JKIISC.2012.22.4.923, Full Text:
Keywords: privacy information protection policy, privacy(data) protection policy
Abstract

정보사회에서 시민들이 정상적인 경제적 활동이나 공공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 개인정보는 보호되어야 한다. 이러한 개인정보에 대한 보호를 통해서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은 각 부문의 정상적인 활동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국가는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관련 법률과 전담조직을 활용하여 개인정보보호정책을 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개인정보보호정책과 해외 주요국가의 개인정보보호정책에 대한 비교연구를 통하여 국가별 개인정보보호정책의 현황을 분석하고 개인정보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필요한 정책적 과제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Statistics
Show / Hide Statistics

Statistics (Cumulative Counts from December 1st, 2017)
Multiple requests among the same browser session are counted as one view.
If you mouse over a chart, the values of data points will be shown.


Cite this article
[IEEE Style]
D. Jeong, "Comparative study of the privacy information protection policy - Privacy information basic laws and dedicated organizations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vol. 22, no. 4, pp. 923-944, 2012. DOI: 10.13089/JKIISC.2012.22.4.923.

[ACM Style]
Dae-Kyeong Jeong. 2012. Comparative study of the privacy information protection policy - Privacy information basic laws and dedicated organizations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22, 4, (2012), 923-944. DOI: 10.13089/JKIISC.2012.22.4.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