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보호 관리체계의 지속적인 정보보호 관리과정(PDCA)이 정보보호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연구

Vol. 22, No. 5, pp. 1123-1132, 10월. 2012
10.13089/JKIISC.2012.22.5.1123, Full Text:
Keywords: ISO27001, ISMS, PIMS, G-ISMS, RMF, Information Security Evaluation, Information SecurityPerformance, PLS
Abstract

최근에는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련 컴플라이언스 요구에 의한 정보보호 관리체계는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필수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정보보호 관리체계 운용과 관리과정이 현실적 상황에서 얼마나 도움이 되고, 실효성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측정 항목을 설정하고, 실제 보안전문가인 조직의 정보보호 관리체계 운영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보호 관리과정이 정보보호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확증적차원(confirmatory)에서 구조방정식에 사용되는 PLS(Partial Least Square, SmartPLS 2.0)를 이용한 1차 요인분석과 마지막으로 2차 요인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모형에 대한 가설 검정 결과 총 16개중 채택 8개, 기각8개로 나타났으며, 정보보호 관리체계 관리과정이 대부분 정보보호 성과에 영향을 미치나 계획단계, 실행단계, 점검단계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tatistics
Show / Hide Statistics

Statistics (Cumulative Counts from December 1st, 2017)
Multiple requests among the same browser session are counted as one view.
If you mouse over a chart, the values of data points will be shown.


Cite this article
[IEEE Style]
S. Jang, S. Lee, B. Noh, "The effects of the operation of an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on the performance of information security,"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vol. 22, no. 5, pp. 1123-1132, 2012. DOI: 10.13089/JKIISC.2012.22.5.1123.

[ACM Style]
Sang-Soo Jang, Sang-Joon Lee, and Bong-Nam Noh. 2012. The effects of the operation of an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on the performance of information security.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22, 5, (2012), 1123-1132. DOI: 10.13089/JKIISC.2012.22.5.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