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산 ID 기반 모바일 학생증 구현과 활용

Vol. 31, No. 6, pp. 1115-1126, 12월. 2021
10.13089/JKIISC.2021.31.6.1115, Full Text:
Keywords: Blockchain, Decentralized Identifier, ID Authentication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이름과 학번, 학과, 안면 사진 등이 포함된 기존의 플라스틱 카드형 학생증에서 자기 주권 신원 (Self Sovereignty Identity, SSI)을 보장하기 위한 모바일 학생증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모바일 학생증은 플라스틱 학생증을 분실하여 신원이 노출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스마트폰 단말기에서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전자 학생증으로 편의성에 특화된 블록체인의 분산 ID(Decentralized Identity, DID) 기반으로 개발된 FRANCHISE 모델의 구조와 프로세스를 갖추고 있다. 또한, 개인에 의한 개인정보 제어로 안전성을 보장하며. 스마트폰을 이용함으로써 편리하게 학생의 신분을 증명할 뿐만 아니라 교내 행사 참여, 온라인 인증, 다른 학교 간의 교류 등 다양한 서비스 확장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Statistics
Show / Hide Statistics

Statistics (Cumulative Counts from December 1st, 2017)
Multiple requests among the same browser session are counted as one view.
If you mouse over a chart, the values of data points will be shown.


Cite this article
[IEEE Style]
조승현, 강민정, 강지윤, 이지은, 이경현, "분산 ID 기반 모바일 학생증 구현과 활용,"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vol. 31, no. 6, pp. 1115-1126, 2021. DOI: 10.13089/JKIISC.2021.31.6.1115.

[ACM Style]
조승현, 강민정, 강지윤, 이지은, and 이경현. 2021. 분산 ID 기반 모바일 학생증 구현과 활용.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31, 6, (2021), 1115-1126. DOI: 10.13089/JKIISC.2021.31.6.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