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그리드 환경에서 공증기관을 이용한 디지털 증거 수집 기법

Vol. 23, No. 2, pp. 319-328, 4월. 2013
10.13089/JKIISC.2013.23.2.319, Full Text:
Keywords: Smart Grid, Digital Evidence, Evidence Acquisition
Abstract

세계 주요 국가들은 전력수요 증가, 환경오염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국의 전력망을 스마트그리드로 변경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내에서도 스마트그리드 도입을 위한 다방면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양방향 통신을 적용한 스마트그리드에는 기존 IT에 존재하는 사이버 위협이 적용되어, 국가적 차원에서 사회적 경제적 혼란을 야기할 수 있는 사이버 테러의 위험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이버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사이버 침해사고 발생 시 이에 대한 조사와 이를 분석하고 재발 방지를 위한 노력이 필수적이다. 침해사고에 대응하기 위한 디지털 증거 수집에 대한 연구는 그간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나 스마트그리드 환경에 적합한 디지털 증거 수집 방안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하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그리드 환경에서 필요한 증거 수집 요구사항과 기존까지 연구된 디지털 증거 수집 방안을 분석하여 스마트그리드 환경에 적합한 디지털 증거 수집 기법에 대해 제안한다.

Statistics
Show / Hide Statistics

Statistics (Cumulative Counts from December 1st, 2017)
Multiple requests among the same browser session are counted as one view.
If you mouse over a chart, the values of data points will be shown.


Cite this article
[IEEE Style]
Y. Cho, J. Choi, S. Kim, J. Seo, "Digital Evidence Acquisition Scheme using the Trusted Third Party in Smart Grid Infrastructur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vol. 23, no. 2, pp. 319-328, 2013. DOI: 10.13089/JKIISC.2013.23.2.319.

[ACM Style]
Youngjun Cho, Jaeduck Choi, Sinkyu Kim, and Jungtaek Seo. 2013. Digital Evidence Acquisition Scheme using the Trusted Third Party in Smart Grid Infrastructur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23, 2, (2013), 319-328. DOI: 10.13089/JKIISC.2013.23.2.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