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명정보 생명주기에 따른 개인정보보호 중심 설계 적용 원칙에 관한 연구

Vol. 32, No. 2, pp. 329-339, 4월. 2022
10.13089/JKIISC.2022.32.2.329, Full Text:
Keywords: Personal Information, Pseudonymization Privacy by Design, De-Identification Privacy by Design
Abstract

최근 개인정보가 데이터로 활용되면서 다양한 신산업 등이 발굴되고 있지만 체계적인 관리체계 구축 미흡 등으로 개인정보 유출 및 오남용 사례가 연이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지난 ’20년 8월, 데이터 3법 시행 이후 개인정보를 가명·익명 처리하여 활용하는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지만 불충분한 가명처리 및 가명정보 처리에 대한 안전성확보조치, 혐오표현 등의 민감정보의 처리 미흡으로 개인정보 이슈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활용하기 위하여 캐나다의 Ann Cavoukian[1]이 제시한 개인정보보호 중심 설계(Privacy by Design, 이하 PbD) 원칙을 기반으로 가명정보 생명주기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PbD원칙을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한 방법에 대하여 개인정보보호 관련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제안 방법의 유의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Statistics
Show / Hide Statistics

Statistics (Cumulative Counts from December 1st, 2017)
Multiple requests among the same browser session are counted as one view.
If you mouse over a chart, the values of data points will be shown.


Cite this article
[IEEE Style]
김동현, "가명정보 생명주기에 따른 개인정보보호 중심 설계 적용 원칙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vol. 32, no. 2, pp. 329-339, 2022. DOI: 10.13089/JKIISC.2022.32.2.329.

[ACM Style]
김동현. 2022. 가명정보 생명주기에 따른 개인정보보호 중심 설계 적용 원칙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32, 2, (2022), 329-339. DOI: 10.13089/JKIISC.2022.32.2.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