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데이터의 자가 초기화에 대한 고찰

Vol. 23, No. 4, pp. 629-638, 8월. 2013
10.13089/JKIISC.2013.23.4.629, Full Text:
Keywords: Information Privacy, information security, digital forensic, Data Privacy Model
Abstract

최근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관심이 높다. 디지털로 변환된 정보는 인터넷을 통해 쉽게 전달되고 개인별 맞춤 서비스를 위해 서비스 제공자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사용자들은 서비스 제공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할 때 암호화를 통해 안전하게 전달하면 공유된 개인 정보가 안전하게 보호된다고 판단하고 있으나 서비스 제공자가 활용한 개인 정보를 정확한 시점에 파기하지 않고 필요 이상으로 오랫동안 보관함으로써 정보 유출의 가능성을 높이는 경우가 많다. 개인정보를 필요한 기간만큼만 보관하고 필요가 없을 경우 삭제하거나 초기화 한다면 개인정보의 유출 가능성을 훨씬 낮출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데이터 자가 초기화 기법에 대해 고찰하고 문제 해결을 위해 유리 상자 모델을 제안한다.

Statistics
Show / Hide Statistics

Statistics (Cumulative Counts from December 1st, 2017)
Multiple requests among the same browser session are counted as one view.
If you mouse over a chart, the values of data points will be shown.


Cite this article
[IEEE Style]
J. Kim, S. Kang, M. Hong, "A Study on the Self-destructing Data for Information Privacy,"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vol. 23, no. 4, pp. 629-638, 2013. DOI: 10.13089/JKIISC.2013.23.4.629.

[ACM Style]
Jonguk Kim, Sukin Kang, and Manpyo Hong. 2013. A Study on the Self-destructing Data for Information Privacy.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23, 4, (2013), 629-638. DOI: 10.13089/JKIISC.2013.23.4.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