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보호 투자와 침해사고의 인과관계에 대한 실증분석

Vol. 23, No. 6, pp. 1207-1218, 12월. 2013
10.13089/JKIISC.2013.23.6.1207, Full Text:
Keywords: Information Security Investment, Security Breach, Difference-in-Differences, Reverse Causality
Abstract

본 연구는 2010년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조사한 "기업의 정보보호 실태조사"의 원자료를 패널데이터로 재구성하여 정보보호 투자와 침해사고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이중차분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보호투자가 침해사고를 줄인다는 통상적인 인과관계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실증적인 근거를 발견하기 어려웠던 반면, 역의 인과관계, 즉 침해사고가 많은 기업이 정보보호 투자를 증가시킨다는 가설은 유의미하게 데이터에 의해 입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보보호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다른 업종에 비해 과감한 사전적인 투자를 수행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는 금융/보험업의 경우, 실증분석에 따르면 오히려 침해사고의 발생에 따라 사후적으로 정보보호 투자를 수행하고 있는 대표적인 업종으로 나타났다.

Statistics
Show / Hide Statistics

Statistics (Cumulative Counts from December 1st, 2017)
Multiple requests among the same browser session are counted as one view.
If you mouse over a chart, the values of data points will be shown.


Cite this article
[IEEE Style]
I. Shin, W. Jang, H. Park, "Information Security Investment and Security Breach: Empirical Study on the Reverse Causality,"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vol. 23, no. 6, pp. 1207-1218, 2013. DOI: 10.13089/JKIISC.2013.23.6.1207.

[ACM Style]
Ilsoon Shin, Wonchang Jang, and Heeyoung Park. 2013. Information Security Investment and Security Breach: Empirical Study on the Reverse Causality.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23, 6, (2013), 1207-1218. DOI: 10.13089/JKIISC.2013.23.6.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