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기관 문서 보안등급 분류에 관한 연구

Vol. 24, No. 6, pp. 1319-1328, 12월. 2014
10.13089/JKIISC.2014.24.6.1319, Full Text:
Keywords: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grade classification of document
Abstract

최근 네트워크의 발달로 개인정보의 수집, 처리 등이 용이해진 반면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고객과 금융기관, 나아가 국가적 손실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금융기관의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정신적 피해나, 불법 유통된 개인정보를 활용한 금융거래로 인해 발생하는 추가적 피해와 관련된 방지 대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금융기관에서는 중요문서(개인정보 포함)뿐만 아니라 공개문서의 열람방식에 있어서 직급이나 직위에 따른 접근통제방식을 수행하고 있다. 그리하여 기밀성을 요구하는 문서일지라도 동일 직급, 동일 직위이면 정당한 방법으로의 열람, 접근이 가능하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문서의 보안등급을 적용하고 보다 효과적인 접근통제를 통해 개인정보 유출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고자 한다.

Statistics
Show / Hide Statistics

Statistics (Cumulative Counts from December 1st, 2017)
Multiple requests among the same browser session are counted as one view.
If you mouse over a chart, the values of data points will be shown.


Cite this article
[IEEE Style]
B. I. Kang and S. J. Kim, "Study on Security Grade Classification of Financial Company Document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vol. 24, no. 6, pp. 1319-1328, 2014. DOI: 10.13089/JKIISC.2014.24.6.1319.

[ACM Style]
Bu Il Kang and Seung Joo Kim. 2014. Study on Security Grade Classification of Financial Company Document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24, 6, (2014), 1319-1328. DOI: 10.13089/JKIISC.2014.24.6.1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