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기능 주변기기에 대한 보호프로파일에 관한 연구

Vol. 25, No. 5, pp. 1257-1268, 10월. 2015
10.13089/JKIISC.2015.25.5.1257, Full Text:
Keywords: Multi-functional devices, Common Criteria, Protection profile
Abstract

다기능 주변기기는 원래 이미지 처리 작업을 중심으로 수행하는 장치였지만 팩스 기능이 결합하여 전자화된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과 네트워크 기능이 추가되어 비약적으로 발전하였다. 또한, 다기능 주변기기는 인터넷 응용, 애플리케이션 확장, 원격 공유, 이미지 처리의 기능이 추가되었다. 하지만 다기능 주변기기는 네트워크 연결로 인한 위협으로 발생하는 데이터 노출 및 도청 등의 보안 취약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다기능 주변기기에 대한 평가 기준이 필요하지만, 현재는 다기능 주변기기에 대한 공통된 보호프로파일이 존재하지 않아서 제품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하는데 구체적인 평가 기준을 적용하지 않아 평가 품질의 균일성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웠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기능 주변기기에 대한 위협을 분석하여 안전한 다기능 주변기기를 사용하기 위해서 공통평가기준을 기반으로 다기능 주변기기에 대한 보호프로파일을 개발하였다.

Statistics
Show / Hide Statistics

Statistics (Cumulative Counts from December 1st, 2017)
Multiple requests among the same browser session are counted as one view.
If you mouse over a chart, the values of data points will be shown.


Cite this article
[IEEE Style]
D. Lee, "A Study on Protection Profile for Multi-function Devic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vol. 25, no. 5, pp. 1257-1268, 2015. DOI: 10.13089/JKIISC.2015.25.5.1257.

[ACM Style]
Dongubm Lee. 2015. A Study on Protection Profile for Multi-function Devic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25, 5, (2015), 1257-1268. DOI: 10.13089/JKIISC.2015.25.5.1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