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시 오브 클랜 오토 프로그램의 악성 행위 분석을 통한 모바일 게임 보안 위협에 관한 연구

Vol. 25, No. 6, pp. 1361-1376, 12월. 2015
10.13089/JKIISC.2015.25.6.1361, Full Text:
Keywords: auto program, macro, Mobile Game, Malicious behavior
Abstract

모바일 게임 시장 규모와 인구가 증가하고 동시에 모바일 게임의 생명주기가 크게 길어지면서 PC 기반 온라인 게임에서 나타났던 오토 프로그램 문제가 모바일 게임에서 그대로 재현되고 있다. 사용자들은 오토 프로그램 실행을 위해 안티 바이러스 프로그램의 경고를 무시하거나 심지어 안티 바이러스 프로그램을 삭제하기 때문에, 오토 프로그램이 게임 관련 기능 외에 악성 행위를 수행할 경우 게임 이용자들은 위협에 무방비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장기간 대규모의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는 대표적인 모바일 게임인 클래시 오브 클랜의 오토 프로그램 7종을 대상으로 악성 행위 유무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발생 가능한 보안 위협과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높은 인기를 가진 특정 모바일 게임의 오토 프로그램들을 일괄 분석함으로써 개발 플랫폼, 동작 방식 등 오토 프로그램의 최신 동향을 파악하였고, 향후 오토 프로그램의 변화 양상 예측 및 잠재적 위협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Statistics
Show / Hide Statistics

Statistics (Cumulative Counts from December 1st, 2017)
Multiple requests among the same browser session are counted as one view.
If you mouse over a chart, the values of data points will be shown.


Cite this article
[IEEE Style]
G. I. Heo, C. I. Heo, H. K. Kim, "A Study on Mobile Game Security Threats by Analyzing Malicious Behavior of Auto Program of Clash of Clan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vol. 25, no. 6, pp. 1361-1376, 2015. DOI: 10.13089/JKIISC.2015.25.6.1361.

[ACM Style]
Geon Il Heo, Cheong Il Heo, and Huy Kang Kim. 2015. A Study on Mobile Game Security Threats by Analyzing Malicious Behavior of Auto Program of Clash of Clan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25, 6, (2015), 1361-1376. DOI: 10.13089/JKIISC.2015.25.6.1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