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JPEG 파일의 출처 식별을 위한 DQT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Vol. 26, No. 2, pp. 359-368, 4월. 2016
10.13089/JKIISC.2016.26.2.359, Full Text:
Keywords: jpeg, DQT, Thumbnail, Smartphone, Image
Abstract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진 촬영이 보편화됨에 따라 이미지 조작, 기밀 유출로 인한 사건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어 이미지 파일의 위변조 여부와 원본 증명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은 사진 파일을 JPEG 형식의 이미지 파일로 저장하는데 JPEG 이미지의 Header부분에는 이미지의 압축률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DQT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JPEG 내부 Thumbnail 이미지에도 DQT가 존재한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DQT만을 이용해 이미지를 촬영한 장치를 판별하였다. 하지만 이 연구는 장치를 판별하기에는 정확도가 매우 낮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DQT 정보뿐만 아니라 Thumbnail 이미지의 DQT 정보에 대한 실험을 통해 사진을 촬영한 스마트폰 기기와 사진 파일을 편집하고 저장한 애플리케이션을 유추할 수 있도록 JPEG 파일의 DQT 정보 및 Thumbnail 이미지의 DQT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보다 정확한 이미지의 출처 판별을 돕는다.

Statistics
Show / Hide Statistics

Statistics (Cumulative Counts from December 1st, 2017)
Multiple requests among the same browser session are counted as one view.
If you mouse over a chart, the values of data points will be shown.


Cite this article
[IEEE Style]
M. Kim, D. Jung, S. Lee, "Building a Database of DQT Information to Identify a Source of the SmartPhone JPEG Image Fil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vol. 26, no. 2, pp. 359-368, 2016. DOI: 10.13089/JKIISC.2016.26.2.359.

[ACM Style]
MinSik Kim, Doowon Jung, and Sang-jin Lee. 2016. Building a Database of DQT Information to Identify a Source of the SmartPhone JPEG Image Fil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26, 2, (2016), 359-368. DOI: 10.13089/JKIISC.2016.26.2.3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