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부문 정보보호 교육과정의 정량적 인증방법에 관한 연구

Vol. 26, No. 2, pp. 551-562, 4월. 2016
10.13089/JKIISC.2016.26.2.551, Full Text:
Keywords: security professionals, education certificates, classification system of security education
Abstract

최근 ICT 융합산업의 확산은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 등 많은 장점을 불러왔지만, 보안위험이 융복합적으로 발생하는 등 새로운 위협을 발생하고 있다. 한편, 이에 대한 대책 중 하나로 인력 중심의 보안관리가 제시되면서 현재 산업별 보안인력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보안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및 훈련에 대한 품질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흡하다. 본 논문에서는 민간시장 정보보호 교육과정 현황을 조사하고, 정보보호 직무분류 등을 활용한 4개 전문분야 15개 표준 교육과정을 도출하였다. 또한 효율적인 민간분야 정보보호 교육인증을 위한 평가지표를 제시하고, 지표별 가중치에 따른 점수를 산정하였다.

Statistics
Show / Hide Statistics

Statistics (Cumulative Counts from December 1st, 2017)
Multiple requests among the same browser session are counted as one view.
If you mouse over a chart, the values of data points will be shown.


Cite this article
[IEEE Style]
J. Kim, S. Cho, D. Yoo, "A Study on Quantitative Method of Certificate for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Course in the Private Sector,"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vol. 26, no. 2, pp. 551-562, 2016. DOI: 10.13089/JKIISC.2016.26.2.551.

[ACM Style]
Joo-hee Kim, Sung-woo Cho, and Dong-young Yoo. 2016. A Study on Quantitative Method of Certificate for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Course in the Private Sector.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26, 2, (2016), 551-562. DOI: 10.13089/JKIISC.2016.26.2.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