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로그 이용이 기술 만족도와 잊혀질 권리 인식에 미치는 영향

Vol. 26, No. 3, pp. 837-856, 6월. 2016
10.13089/JKIISC.2016.26.3.837, Full Text:
Keywords: Ambivalence of information technologies, Lifelog, Right to be forgotte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정보통신기술 이용의 순기능과 역기능을 연구하였고, 그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정보통신기술 이용 경험을 많이 할수록 정보통신기술의 유용성을 더 높게 인지하고 나아가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만족도를 높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보통신기술 이용 경험을 많이 할수록 프라이버시 염려를 더 높게 인지하고 나아가 잊혀질 권리에 대한 필요성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통신기술 이용에 따른 영향력은 순기능과 역기능 중에서 순기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이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하여 프라이버시 염려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Statistics
Show / Hide Statistics

Statistics (Cumulative Counts from December 1st, 2017)
Multiple requests among the same browser session are counted as one view.
If you mouse over a chart, the values of data points will be shown.


Cite this article
[IEEE Style]
I. Yoon and S. Kwon, "Effects of Lifelog Experience on Technology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Right to be Forgotte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vol. 26, no. 3, pp. 837-856, 2016. DOI: 10.13089/JKIISC.2016.26.3.837.

[ACM Style]
Il-han Yoon and Sun-dong Kwon. 2016. Effects of Lifelog Experience on Technology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Right to be Forgotte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26, 3, (2016), 837-856. DOI: 10.13089/JKIISC.2016.26.3.8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