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영향평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Vol. 26, No. 4, pp. 973-984, 8월. 2016
10.13089/JKIISC.2016.26.4.973, Full Text:
Keywords: Privacy, Privacy Impact Assessment, Personal Information, human rights to information
Abstract

정보시스템에 수집 이용되는 개인정보에 대한 개인정보영향평가가 법적 근거에 의해 시행된 지 2016년으로 6년차가 된다. 이에 ITSM(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 Management)의 3대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운영상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다양한 개인정보 처리시스템에 대한 평가자로써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product에 해당하는 평가 보고서의 품질 향상 방안에 대해 주된 고민을 하였고, 평가 수행 시 적용하는 보고서의 형식적 타당성을 갖추기 위한 개선안을 평가 단계별 산출물 4종을 기준으로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people에 해당하는 평가수행자에게 요구되는 능력을 GRC(Governance, Risk, Compliance)로 인식하여 개선안을 제시하였고, process인 제도 운영에 관한 개선안도 부가하였다. 2011년 개인정보보호법 제정 시 명시한, 개인정보영향평가 완료 기한인 2016년 이후에도 실효성 있는 평가제도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평가자 평가기관과 주관기관이 협력하여 평가제도를 완성해가야 할 것이다.

Statistics
Show / Hide Statistics

Statistics (Cumulative Counts from December 1st, 2017)
Multiple requests among the same browser session are counted as one view.
If you mouse over a chart, the values of data points will be shown.


Cite this article
[IEEE Style]
Y. Choi and K. Han, "Problems and Improvement of Privacy Impact Assessment,"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vol. 26, no. 4, pp. 973-984, 2016. DOI: 10.13089/JKIISC.2016.26.4.973.

[ACM Style]
Young-hee Choi and Keun-hee Han. 2016. Problems and Improvement of Privacy Impact Assessment.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26, 4, (2016), 973-984. DOI: 10.13089/JKIISC.2016.26.4.9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