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특징을 이용한 지문 이미지의 위조여부 판별 및 시각화

Vol. 26, No. 5, pp. 1259-1268, 10월. 2016
10.13089/JKIISC.2016.26.5.1259, Full Text:
Keywords: fingerprint liveness detection, CNN, Visualization
Abstract

최근 지문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 기술이 상용화 되면서 위조 지문 이미지 판별이 더욱 중요해졌다. 본 논문에서는 CNN 특징을 이용한 위조 지문 이미지 판별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CNN 모델이 실제 지문의 어느 부분에 반응하여 위조지문을 분류하는지 시각화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제안하는 방법은 지문영역과 배경영역을 분리하는 전처리 작업 후 CNN 모델을 이용하여 지문의 위조여부를 분류한다. 지문을 단순히 생체지문과 위조지문으로 분류하는 것이 아니라 위조지문을 구성하는 물질별로 분류하여 생체지문과 위조지문들에 대한 특징분석을 제공한다. 실험에 사용한 데이터베이스로는 생체 지문 이미지 6500여 장과 위조 지문 이미지 6000여 장으로 구성되어 있는 LivDet2013을 사용하였으며 위조여부에 대한 ACE 값으로 3.1%, 구성 물질 분류 정확도는 평균 79.58%를 보여 높은 수준의 분류성능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Statistics
Show / Hide Statistics

Statistics (Cumulative Counts from December 1st, 2017)
Multiple requests among the same browser session are counted as one view.
If you mouse over a chart, the values of data points will be shown.


Cite this article
[IEEE Style]
W. Kim, Q. Li, E. Park, J. Kim, H. Kim, "Fingerprint Liveness Detection and Visualization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Featur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vol. 26, no. 5, pp. 1259-1268, 2016. DOI: 10.13089/JKIISC.2016.26.5.1259.

[ACM Style]
Weon-jin Kim, Qiong-xiu Li, Eun-soo Park, Jung-min Kim, and Hak-il Kim. 2016. Fingerprint Liveness Detection and Visualization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Featur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26, 5, (2016), 1259-1268. DOI: 10.13089/JKIISC.2016.26.5.1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