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광고 인젝션 사례 연구

Vol. 27, No. 5, pp. 1049-1058, 10월. 2017
10.13089/JKIISC.2017.27.5.1049, Full Text:
Keywords: mobile advertisement, mobile ad injection, abusing
Abstract

최근 무선 네트워크 및 모바일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모바일 기기를 통한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가 개발 및 제공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모바일 광고(mobile advertisement) 형태도 다양한 형태로 확대되고 있다. 이에 유선 환경에서 발생하였던 광고 인젝션(advertisement injection; ad injection)이 모바일 환경으로 확장되고 있다. 특히 모바일 환경에서는 원하지 않는 광고의 노출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함과 동시에 모바일 데이터 사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렇게 광고 인젝션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PC 환경에서와 마찬가지로 아직까지 모바일 환경에서의 광고 인젝션 유형 및 특성에 관한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 인터넷 포털 사이트 네이버를 대상으로 한 모바일 앱(mobile app)의 광고 인젝션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모바일 광고 인젝션의 유형 및 특성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2개의 모바일 앱을 대상으로 역공학(reverse engineering) 기법을 통하여 광고 인젝션 코드 및 행위에 대한 정적 동적 분석을 수행하였고 기존 PC 환경에서의 광고 인젝션과 비교 분석하였다.

Statistics
Show / Hide Statistics

Statistics (Cumulative Counts from December 1st, 2017)
Multiple requests among the same browser session are counted as one view.
If you mouse over a chart, the values of data points will be shown.


Cite this article
[IEEE Style]
S. Cho, G. Heo, H. Choi, Y. Kim, "A Case Study on Mobile Advertisement Injectio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vol. 27, no. 5, pp. 1049-1058, 2017. DOI: 10.13089/JKIISC.2017.27.5.1049.

[ACM Style]
Sanghyun Cho, Gyu Heo, Hyunsang Choi, and Young-Gab Kim. 2017. A Case Study on Mobile Advertisement Injectio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27, 5, (2017), 1049-1058. DOI: 10.13089/JKIISC.2017.27.5.10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