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환경에서의 형태보존 암호 FEA에 대한 최적 구현

Vol. 28, No. 1, pp. 41-51, 2월. 2018
10.13089/JKIISC.2018.28.1.41, Full Text:
Keywords: Format preserving encryption, FEA, SIMD, NEON
Abstract

형태보존 암호는 평문의 형태를 그대로 보존하여 암호화를 수행한다. 따라서 암호화 전・후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변경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용카드,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데이터에 대한 암호화를 수행할 경우 형태보존 암호는 평문과 동일한 형태의 암호문을 출력하기 때문에 형태가 갖춰진 기존의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현재 미국표준기술연구소(NIST)는 형태보존 암호의 표준으로써 FF1과 FF3를 권장하고 있다. 최근 국내의 경우 매우 효율적인 형태보존 암호 알고리즘인 FEA를 형태보존 암호의 표준으로 채택하였다. 본논문에서는 대한민국 형태보존 암호의 표준 알고리즘인 FEA를 분석하고 다양한 환경에서 최적 구현하여 FEA의성능을 측정한다.

Statistics
Show / Hide Statistics

Statistics (Cumulative Counts from December 1st, 2017)
Multiple requests among the same browser session are counted as one view.
If you mouse over a chart, the values of data points will be shown.


Cite this article
[IEEE Style]
C. Park, S. Jeong, D. Hong, C. Seo, "Optimal Implementation of Format Preserving Encryption Algorithm FEA in Various Environment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vol. 28, no. 1, pp. 41-51, 2018. DOI: 10.13089/JKIISC.2018.28.1.41.

[ACM Style]
Cheolhee Park, Sooyong Jeong, Dowon Hong, and Changho Seo. 2018. Optimal Implementation of Format Preserving Encryption Algorithm FEA in Various Environment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28, 1, (2018), 41-51. DOI: 10.13089/JKIISC.2018.28.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