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을 하시면 라이브 버튼이 활성화됩니다.
일자 : 11월 18일(목) 16:00-17:00
장소 : 소노캄 여수 그랜드볼룸
사회 : 류현석 교수(서울대학교)
일자 : 11월 18일(목) 17:10-18:40
장소 : 소노캄 여수 그랜드볼룸
주제 : 미래 모빌리티를 위한 신에너지 및 신소재 기술 전망
![]() |
김세훈 부사장ㅣ현대자동차 지구온난화 대응을 위한 글로벌 탄소중립 및 수소 연료전지 역할 김세훈 부사장은 서울대학교 기계공학 학사·석사학위를 독일 아헨 라인 베스트팔렌 공과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2003년 현대차에 입사한 후 수소전기차 개발을 주도하며, 2013년 전세계 최초로 양산형 수소전기차(FCEV) 투싼ix35 를 출시하고 2018년 기존 제1세대 투싼ix35 대비 내구성 및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킨 제2세대 넥쏘(NEXO), 2020년 세계 최초 수소전기 대형트럭 ‘엑시언트’ 양산을 연달아 성공시키며, 대한민국이 수소전기차 분야의 글로벌 리딩 국가가 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습니다. 현재 현대자동차 연료전지사업부를 이끌며 수송분야를 넘어 연료전지시스템을 활용한 발전 및 수소 생산 등 국내·외를 비롯한 미래 수소사회를 위한 기반 구축에 힘쓰고 있습니다. |
![]() |
정인희 전문위원ㅣLG화학 화학소재에 기후대응과 순환경제를 담다 정인희 전문위원은 환경, 기후대응 및 지속가능성 (sustainability) 분야의 전문가로서 과학, 환경공학, 자원경제학 및 환경정책 등 환경관련 다각적인 학문적 배경의 소유자입니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환경공학을 전공했으며, 영국 요크대학에서 환경경제학 및 경영학 준석사를, 런던대학교 임페리얼공대에서 환경기술학(에너지 정책) 석사를 취득하였습니다. 주요 경력으로는 글로벌 지속가능성 컨설팅 기업인 Environmental Resources Management (ERM) 그룹사에서 환경실사 및 환경안전보건 감사, 환경관리시스템 구축, 온실가스 감축사업, 그린빌딩인증 등을 수행하였으며, 유엔환경계획기구(UNEP) 및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와 같은 국제기구에서 개도국 지속가능성장 관련 정책수립 및 프로젝트 수행 경험이 풍부합니다. 현재는 글로벌 화학 기업에서 ESG/지속가능성을 핵심 경영전략 및 새로운 가치로 내재화하는 작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아울러 글로벌 파트너쉽을 확대해 가는 활동에도 일조하고 있습니다. 주요 저서로는 “Pro-poor, Inclusive Green Growth: Experience and a New Agenda”, “Addressing the Emissions Gap through Green Growth”, “Climate-Friendly Buildings & Offices: A Practical Guide”등이 있습니다. |
일자 : 11월 17일(수) 14:00-15:30
장소 : 여수엑스포컨벤션센터 2강연장
사회자 : 김영범 교수(한양대학교) | ||
---|---|---|
시간 | 세부내용 | 발표자 |
14:00-14:30 | 배터리 모듈 개요 및 원통형 전지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 개발 동향 | 김종호 상무(신흥에스이씨) |
14:30-15:00 | 수소자동차용 기체확산층(GDL) 개발 현황 | 이은숙 부사장(제이엔티지) |
15:00-15:30 |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개요 및 기술개발 동향 | 정지홍 상무 (상아프론테크) |
![]() |
김종호 상무ㅣ신흥에스이씨 김종호 상무는 2차전지부품 연구개발 분야에서 Safety부품(PTC, S/T, SCID등 고분자 복합소재를 활용한 부품)을 개발하였고, 2017년 부터는 18650/21700 원통형 전지를 활용한 EV/ESS용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시스템 개발하고 신흥에스이씨의 배터리 모듈 및 팩 신사업을 주도하였다. |
![]() |
이은숙 부사장ㅣ제이엔티지 이은숙 부사장은 수소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Gas Diffusion Layer, GDL)을 국내에서 최초로 개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양산라인을 투자하여 수소 시장 확대에 참여하고 있다. 개발된 GDL은 수소자동차뿐만 아니라 분산발전용, 건물용 및 드론용으로 적용중이며, 다양한 고객의 요구조건에 맞는 맞춤형 제품을 개발하여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으로 판매망을 넓히고 있다.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개발 책임자로 자동차용, 분산발전용, 건물용 및 드론용을 개발하고 연료전지 관련 특허 25편을 가지고 있으며, 국내 최초 GDL 개발 및 양산화에 성공하였다. 또한 중대형 상용차용 고내구 고강성 기세확산층 개발 등 최근 5년간 국책과제 7건을 수행하였다. |
![]() |
정지홍 상무ㅣ상아프론테크 정지홍 상무는 1996년에 상아프론테크에 입사하여 현재 기술연구소 소장으로 재직 중이며, 20여년간 연구개발을 통해 PI FCCL, 프린터 부품인 전사벨트/정착벨트, PI 성형품, 무선충전용 자성시트 등을 국산화하여 수입대체를 이루었다. 최근 Expended PTFE 개발을 통한 선택필터, 의료용 Membrane,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용 강화전해질막을 상용화하였다. 특히,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용 강화전해질막은 수소전기차 스택에 사용되는 핵심 부품으로 높은 기술력을 필요로 하는 부품으로 국내 최초로 상용화하여 세계에서 두 번째로 양산에 성공하였고, 관련하여 20여건의 특허를 출원하였다. |
일자 : 11월 19일(금) 09:30-11:10
장소 : 여수엑스포컨벤션센터 3강연장
사회자 : 전병욱 연구위원(현대자동차) | ||
---|---|---|
시간 | 세부내용 | 발표자 |
09:30-10:00 | 게임이론을 활용한 자율주행차 판단/제어 전략 개발에 관한 연구 | 한경석 교수 (경북대학교) |
10:00-10:30 | 전기차용 다모터 다단변속 시스템의 효용성 및 최적설계 | 권기한 교수 (호남대학교) |
10:30-11:00 | 선형 파라미터 가변 시스템 기법을 응용한 자율주행 기술 | 강창묵 교수 (인천대학교) |
![]() |
한경석 교수ㅣ경북대학교 수소 사회 도래와 현대차그룹 비전 한경석 교수는 20년 3월부터 경북대 기계공학부에 근무 중이며, 임용 전에는 카이스트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후 미시간대학교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서 근무했습니다. 학위 중에서는 국내 완성차업체와 협업하여 차량 안정성, 다이나믹 성능 개선을 위한 샤시 제어 알고리즘을 개발 하였고, 미시간에서는 포드로부터 서포트 받아 전기차 에너지효율 제어, 강화학습기반 자율주행차량 판단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임용 후에도, 1) V2X와 같은 차량 Connectivity 를 활용한 전동화차량의 전비 향상을 위한 최적 속도프로파일, 배터리열관리, 2) 자율차와 사람이 운전하는 차량간의 상호작용 모델링 등과 같이 학교 레벨에서 자동차 산업 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는데 자율주행, 전기차 관련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
![]() |
권기한 교수ㅣ호남대학교 화학소재에 기후대응과 순환경제를 담다 권기한 교수는 한양대학교 기계공학부 졸업 후, 2009년 현대자동차에 입사하여 6년간 변속기개발실과 환경차성능개발실에서 CAE 및 제어시스템 요건 개발 업무를 수행하였습니다. 이후 한양대학교 미래자동차공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2020년부터 호남대학교 미래자동차공학부에서 친환경차 파워트레인 시스템의 설계/제어/최적화 관련 교육 및 연구를 수행 해 왔습니다. 최근까지 전기차 파워트레인의 모터/변속기 최적 제어 및 설계 관련 논문을 다수 출판하였으며 현재 현대자동차와 관련한 산학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
![]() |
강창묵 교수 | 인천대학교 선형 파라미터 가변 시스템 기법을 응용한 자율주행 기술 강창묵 교수는 한양대학교 전기공학 학사와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자율주행차량의 종횡방향 제어기 설계를 연구하였으며, 2018년 국방과학연구소(ADD)에 선임연구원으로 입사한 후 무인전투차량 개발에 참여하였습니다. 2018년~2019년에는 대통령경호처(PSS) 미래대응팀에 합류하여 드론·로봇의 경호 활용방안 및 위협 대응 방안을 연구하였습니다. 2019년 인천대학교 전기공학과 조교수로 부임하여 지능형 로봇, 자율주행 자동차, 드론 등 무인 이동체를 위한 인공지능, 경로계획 및 제어, 고장진단 등 핵심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
* DAY1 [11월17일(수)]
▣ 수송 부문 탄소중립을 위한 E-Fuel과 수소 관련 기술 동향
E-Fuel 중심의 내연기관 기반 탄소 중립, Zero-Impact Emission을 위한 차기 배출가스 규제, 연료전지 MEA/수소 생산 기술 기반 수소화를 통한 탄소 중립 조기화에 대하여 논의한다.
일시 : 2021년 11월 17일(수) 14:00-17:20
장소 : 여수엑스포컨벤션센터 6강연장
주관 : 한국자동차공학회 에너지 및 배기부문
후원 : NH 리사이텍 컴퍼니 , 코렌스 RTX, 에픽
사회 : 장진영 책임(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
---|---|---|
시간 | 세부내용 | 발표자 |
14:00~14:05 | 개회 및 인사 | 여권구 부문회장 (에너지 및 배기부문) |
14:05~14:10 | 후원사 소개 | NH 리사이텍 컴퍼니 , 코렌스 RTX, 에픽 |
14:10~14:40 | 수송 부문 탄소중립을 위한 E-Fuel 기술 동향 | 배충식 교수 (한국과학기술원) |
14:40~15:10 | E-Fuel 생산기술 |
김재훈 교수 (성균관대학교) |
15:10~15:20 | 휴식 | |
15:20~15:50 | 탄소중립정책과 자동차 배출가스 규제(Euro7 등) 동향 | 박준홍 연구관 (국립환경과학원) |
15:50~16:20 | 수소전기차용 MEA개발 동향 | 조윤환 파트장 (현대자동차) |
16:20~16:50 | 비차량용 연료전지 MEA 개발 동향 | 이성철 박사 (현대모비스) |
16:50~17:20 | 그린수소 개발 동향 | 조원철 단장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 DAY3 [11월 19일(금)]
▣ EV 통합열관리 기술 글로벌 트렌드 및 특허 동향
일시 : 2021년 11월 19일(금) 09:00-10:50
장소 : 여수엑스포컨벤션센터 9강연장
주관 : 한국자동차공학회 미래자동차통합열관리연구회
사회 : 오만주 위원장 (미래자동차통합열관리연구회) | ||
---|---|---|
시간 | 세부내용 | 발표자 |
09:00 ~ 09:50 | EV 통합열관리 글로벌 트렌드 | 오만주 위원장 (미래자동차통합열관리연구회) |
10:00 ~ 10:50 | EV 통합열관리 특허 동향 | 정기현 팀장 (특허청) |
▣ 수소모빌리티를 위한 수소 생산, 저장 및 충전 기술
재생에너지의 전기를 이용하여 CO2가 배출되지 않는 수소 생산 기술, 우수한 에너지 밀도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성이 높은 수소 대량 저장 기술 및 경제성이 우수한 수소의 대량 공급을 위한 충전 기술을 주제로 하여, 신진과학자 및 중견전문가들의 연구개발 발표를 통해 국내 수소모빌리티 관련 산업 활성화를 도모한다.
일시 : 11월 19일(금) 09:20-15:50
장소 : 여수엑스포컨벤션센터 7강연장
주관 : 한국자동차공학회 수소모빌리티연구회
사회 : 김현철 위원장 (수소모빌리티연구회) | ||
---|---|---|
시간 | 세부내용 | 발표자 |
제1세션 | ||
09:20~10:00 | (광)전기화학 물 분해 기반 그린 수소 생산용 에너지 변환 소재 개발 | 박상욱 교수 (서울대학교) |
10:00~10:40 | 열화학 물 분해 반응기반 그린수소 생산기술 | 진현규 교수 (포항공과대학교) |
10:40~10:50 | 휴식 | |
10:50~11:30 | 화학적수소저장체 기반 차상 수소저장시스템개발 동향 | 김용민 박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11:30~12:10 | Highly Efficient Reversible Solid Oxide Cells Using Rationally Doped Bismuth Oxides at Reduced Temperatures | 이강택 교수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12:10~13:00 | 점심시간 및 휴식 | |
제2세션 | ||
13:00~13:40 | 수소전기자동차용 금속소재의 수소취성 평가 | 백운봉 박사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13:40~14:20 | 창원 수소액화 플랜트 EPC 현황 | 이종현 박사 (두산중공업) |
14:20~14:30 | 휴식 | |
14:30~15:10 | 수소 철도차량의 개발 현황 및 활용 | 김명한 책임연구원 (현대로템 기술연구소) |
15:10~15:50 | 수소 액화공정 설계 및 최적화 | 이철진 교수 (중앙대학교) |
▣ 전동화 차량(xEV)을 위한 최신 샤시 기술 동향
본격적인 전동화 차량 개발 및 향후 자율주행에 따른 현가/ 조향/ 구동 시스템 및 이들 시스템 제어에 관한 최신 샤시기술에 대해 논의한다.
일시 :2021년 11월 19일(금), 14:00-16:50
장소 : 여수엑스포컨벤션센터 5강연장
주관 : 한국자동차공학회 섀시 및 차량동역학 부문
사회 : 이상호 부문회장(섀시 및 차량동역학부문) | ||
---|---|---|
시간 | 세부내용 | 발표자 |
14:00 ~ 14:10 | 인사말 | 이상호 부문회장 (섀시 및 차량동역학부문) |
14:10 ~ 14:40 | EV 차량의 주행성능 향상을 위한 드라이브 라인 개발동향 | 전재환 팀장 (현대자동차) |
14:40 ~ 15:10 | 전동화 차량을 위한 e-Corner 모듈 개발동향 및 컨셉 | 이태헌 책임 (현대모비스) |
15:10 ~ 15:40 | 상용화 전동화에 따른 조향 시스템 개발동향 (고출력 전동 조향 시스템) | 박선홍 실장 (만도) |
15:40 ~ 15:50 | 휴식 | |
15:50 ~ 16:20 | Advanced Vehicle Dynamics Control based on Integration Control of Steer-by-Wire and In-Wheel-Motor Systems | 남강현 교수 (영남대학교) |
16:20 ~ 16:50 | 자율주행 국내외 트랜드 | 허건수 교수 (한양대학교) |
일자 : 11월 18일(목) 11:20-13:00
장소 : 여수엑스포컨벤션센터 7강연장
주관 : 국민대학교
참여대학 : 국민대학교, 계명대학교, 대림대학교, 선문대학교, 아주대학교, 인하대학교, 충북대학교
사회자 : 임세준 교수(국민대학교) | ||
---|---|---|
시간 | 세부내용 | 발표자 |
11:20~11:40 | 디지털 혁신공유대학사업 미래자동차 분야 소개 | 신선환 단장 |
11:40-12:10 | [초청강연 I] 미래 교통문화를 준비하는 우리나라 e-모빌리티 산업 현황 | 나종관 센터장(한국자동차연구원 전남본부 e-모빌리티연구센터) |
12:10-12:40 | [초청강연 II] 자율주행 및 xEV 기술과 정책동향 | 하성용 교수(중부대학교,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위원) |
12:40-13:00 | 미래자동차 교육혁신 간담회 | 컨소시엄 참여대학 대표 7명 |
일자 : 11월 18일(목) 14:00-15:00
장소 : 여수엑스포컨벤션센터 7강연장
주제 : 미래자동차의 저탄소기술
시간 | 세부내용 | 발표자 |
---|---|---|
14:00~14:05 | 인사말 | 한동철 회장(한국자동차공학한림원) |
14:05-14:30 | 한국 탈탄소 교통수단의 가까운 미래 | 박용성 상임이사(한국교통안전공단) |
14:30-14:55 | 탄소중립을 위한 자동차 기술 | 민경덕 교수(서울대학교) |
14:55-15:00 | 맺음말 | 이창식 감사(한국자동차공학한림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