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mission and Publication



 

 

한국섬유공학회지 투고 규정

<2021년 10월 22일 개정>

제1조. 이 규정은 한국섬유공학회지(Textile Science and Engineering, 이하 학회지)에 논문을 투고하는 규칙을 정한다.

제2조. 투고 논문은 본 학회 연구윤리규정에 위배되지 않아야 하며, 본 학회지에 투고하기 전에 다른 학술지에 원보로서 발 표되지 않은 것이어야 한다. 교신저자는 모든 저자들의 동의를 얻어, 저자를 대표하여 논문 투고시 윤리확약서를 학회로 제출하여야 한다.

제3조. 논문은 일반논문(Articles), 속보(Short Communications), 단신(Notes)으로 투고할 수 있다. 연구가 간단하나 중요한 결과는 속보(급히 알려야 할 새로운 연구결과) 또는 단신(이미 발표된 연구의 보완)으로 투고한다.

제4조. 제출된 논문의 접수일은 논문을 투고한 날로 하고 채택일은 심사가 완료된 날로 한다.

제5조. 투고된 논문은 본 학회 심사규정에 의거 심사위원의 심사를 거쳐 편집위원회에서 게재 여부를 결정한다.

제6조. 매호 게재되는 논문은 심사완료 후 채택된 논문 중 채택 순서에 따라 편집위원장이 결정한다.

제7조. 본 학회지에 투고하여 게재가 결정된 논문에 대하여 본 학회편집위원회가 정한 바에 따라 소정의 게재료를 납부 하여야한다.

제8조. 본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의 저작권은 한국섬유공학회에 귀속되며, 교신저자는 모든 저자들의 동의를 얻어, 저자를 대표하여 논문 투고시 저작권이양동의서를 학회로 제출하여야 한다.

제9조. 논문은 본 학회 투고 요령에 따라 작성되어야 하며, 온라인 논문투고 사이트를 통해 제출하여야 한다. 제10조. 기타 본 규정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편집위원회의 결정에 따른다.


 

한국섬유공학회지 투고요령

1. 논문은 국문 또는 영문으로 작성한다. 논문에 사용되는 용어는 원칙적으로 본회가 제정한 용어를 사용한다(신섬유사전 참고).

2. 논문은 A4 용지에 더블 스페이스로 인쇄하고, 분량은 표와 그림 등을 포함하여 일반 논문은 20면 이내, 속보 및 단신은 10 면 이내를 원칙으로 한글(hwp)이나 MS워드(doc)로 작성한다.

3. 논문은 제목, 저자 정보, 초록, 키워드, 서론, 실험, 결과 및 고찰, 결론, 감사의 글, 참고문헌 순서대로 작성한다. 1면에는 제목, 저자명, 소속을 국문과 영문으로 작성한다. 영문 저자명은 full name을 원칙으로 하며 영문초록은 200단어 이내로, 영문 키워드는 7개 이내로 작성한다. 교신저자는 저자명 뒤에 별표(*) 표기를 한다.

4. 표와 그림은 본문의 최초 언급된 부분 근처에 삽입하여 작성한다. 논문에 삽입된 모든 그림과 표에 대하여, 원고 중 어딘가에 반드시 한 번 이상 해당 그림 또는 표를 언급하고 내용을 설명하여야 한다. 표와 그림의 설명은 모두 영문으로 작성하며 첫 자만 대문자로 표기하며, 그림 설명에만 마지막에 마침표를 찍는다. 설명문의 위치는 표의 경우는 표 위에, 그림의 경우 는 그림 아래로 한다

가. 그림은 바로 인쇄할 수 있도록 선명하게 그린 원본이어야 한다(해상도 600 dpi 이상). 그림에 삽입한 자구와 부호의 크기는 가로가 5.5~6.0 cm로 축소 인쇄되었을 때 2~3 mm가 되도록 한다. 세로단의 너비에 맞는 크기로 그린 그림을 제출할 것을 권장한다(최대 8.3 cm(한단), 17.5 cm(두단)).

나. 화학 구조는 화학 구조를 그리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그려야 한다. 프로그램이 ChemDraw인 경우 ACS Document 1996 Style 또는 최신판을 사용한다.

5. 본문, 그림 및 표에 사용된 부호(약어)는 처음 사용된 곳에서 정의하여야 한다.

6. 단위는 S.I. 단위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7. 논문은 ithenticate 또는 crosscheck 통해 투고시와 게재시 2회 표절중복검사를 시행한다.

8. 참고문헌은 다음 방법에 따라 기술한다. 본문에 인용되지 않은 참고문헌은 수록할 수 없다. 참고문헌은 전부를 모아 본문 끝에 영문으로 작성한다. 참고문헌을 본문에 인용할 때에는 해당되는 이름이나 어구의 우측에 대괄호내에 숫자로 표시한다 (예, Giles[1], Kim 등[2~5]에 따르면 ...).
 

가. 국내외 학술지를 인용할 경우, 저자명, 논문제목, 학술지명, 발간년도, 권, 면의 순서로 기재한다. 인용한 학술지명은 ISO 표준에 의한 약어로 기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이탤릭으로 표기한다. 발간년도, 권, 면 대신 DOI를 기입하거나 인용 면 대신 논문번호로 인용할 수 있다.
 

예 1. H. S. Kim, E. S. Shin, and J. J. Lee, “Weight Reduction and Dyeing Properties of Sea-Island-Type Polyethylene Terephthalate Ultramicrofiber Knitted Fabrics”, Text. Sci. Eng., 2014, 51, 34-42.
예 2. D. Bruss, Appl. Phys. B, DOI 10.1007/s003409900185.
예 3. J. Song, H. Lee, M. Choo, J. Park, and H. Kim, “Ionomer-Liquid Electrolyte Hybrid Ionic Conductor for High Cycling Stabilityof Lithium Metal Electrodes”, Sci. Rep., 2015, 5, Article Number: 14458.
 

나. 단행본의 문헌을 인용할 경우 저자명, 저서명, 편집자명(있는 경우), 출판판수(2판 이상인 경우), 출판사명, 출판도시명, 출판년도, 권(2권 이상인 경우), 면 또는 장의 순으로 기술한다.

예 4. V. K. Thakur, Ed., “Cellulose-based Graft Copolymers, Structure and Chemistry”, CRC Press, NY, 2015, pp.337-341.
예 5. A. Balmforth in “The Theory of Coloration of Textiles”, A. Johnson Ed., 2nd Ed., Society of Dyers and Colourists, Bradford, 1989, pp.139-148.
 

다. 특허는 소유자, 특허 제목, 특허 번호, 출원(혹은 등록)년도의 순으로 기재한다.

예 6. N. H. Kolmes, “Composite Yarn with Fiberglass Core”, US Patent, 5,845,476 (1998).
 

라. 국내외 학술회의 논문집의 문헌을 인용할 경우, 저자, 제목, 학술회의명, 페이지, 학술회의 개최 장소, 출판년도의 순서로 기재한다.

예 7. P. J. Hauser and A. H. Tabba, “Dyeing Cationic Cotton with Fiber Reactive Dyes : Effect of Dye Structure”, AATCC 2001 International Conference & Exhibition, pp.240-246, Greenville, SC, 2001.
 

마. 국내외 학위논문을 인용할 경우, 저자, 제목, 학위의 종류, 학교명, 학교의 위치, 학위수여년도의 순으로 기재한다.

예 8. H. S. Lee, “Study of the Industrial Through-Air Drying Process for Tufted Carpet”, Ph.D. Thesis,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Atlanta, GA, 2000.
 

바. 온라인 웹 사이트 게시내용을 인용할 경우, 웹 사이트명, URL, 인용날짜 순으로 기재한다.

예 9. https://www.instituteofmaking.org.uk/materials-library/material/3d-printed-nylon-chainmail (Accessed October 21, 2021). 사. 국내외 보고서를 인용할 경우, 저자, 보고서 제목, 보고서 발간처, 발간 년도의 순으로 기재한다.
 

아. 국내외 규격을 인용할 경우, 규격번호, 규격명, 제정/개정일의 순으로 기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