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qually Spaced 기약다항식 기반의 효율적인 이진체 비트-병렬 곱셈기

Vol. 18, No. 2, pp. 3-10, 4월. 2008
10.13089/JKIISC.2008.18.2.3, Full Text:
Keywords: Bit-Parallel Multiplier, redundant representation, Left-to-Right expoentiation, Equally spaced irreducible polynomial
Abstract

유한체 $GF(2^m)$의 원소를 표현하기 위한 기저선택은 곱셈기의 효율성에 영향을 미친다. 이중에서 여분표현을 이용한 곱셈기는 모듈러 감산을 빠르게 구성할 수 있는 특징을 이용하여 시간-공간의 trade-off를 효율적으로 제공한다. 따라서 여분표현을 이용한 기존의 곱셈기는 다른 기저로 표현한 곱셈기보다 시간 복잡도 상의 효율성을 제공하나 공간 복잡도가 많이 늘어나는 단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다항식 지수승 연산이 많이 사용된다는 것을 감안해 Left-to-Right 형태의 지수승 환경에 적합한 시간-공간 복잡도 상의 효율성을 가지는 새로운 비트-병렬 곱셈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곱셈기는 $T_A+({\lceil}{\log}_2m{\rceil})T_x$ 시간 복잡도와 (2m-1)(m+s) 공간 복잡도를 요구하며 ESP(Equally Spaced Polynomial) 기약다항식 기반의 기존 여분표현 곱셈기와 비교해 공간 복잡도는 $2(ms+s^2)$ 감소하며, 시간복잡도는 $T_A+({\lceil}{\log}_2(m+s){\rceil})T_x$에서 $T_A+({\lceil}{\log}_2m{\rceil})T_x$로 감소된다. ($T_A$:2개의 입력에 1개의 출력인 AND 게이트 시간, $T_x$:2개의 입력에 1개의 출력인 XOR 게이트 시간이며 m:ESP기약 다항식 차수, s: ESP기약 다항식의 각항의 차수 간격)

Statistics
Show / Hide Statistics

Statistics (Cumulative Counts from December 1st, 2017)
Multiple requests among the same browser session are counted as one view.
If you mouse over a chart, the values of data points will be shown.


Cite this article
[IEEE Style]
O. Lee, N. Chang, C. Kim, S. Hong, "Efficient Bit-Parallel Multiplier for Binary Field Defind by Equally-Spaced Irreducible Polynomial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vol. 18, no. 2, pp. 3-10, 2008. DOI: 10.13089/JKIISC.2008.18.2.3.

[ACM Style]
Ok-Suk Lee, Nam-Su Chang, Chang-Han Kim, and Seok-Hie Hong. 2008. Efficient Bit-Parallel Multiplier for Binary Field Defind by Equally-Spaced Irreducible Polynomial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18, 2, (2008), 3-10. DOI: 10.13089/JKIISC.2008.1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