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로그 빅데이터 분석 효율성 향상을 위한 방화벽 로그 데이터 표준 포맷 제안

Vol. 30, No. 1, pp. 157-167, 2월. 2020
10.13089/JKIISC.2020.30.1.157, Full Text:
Keywords: Logdata Standard, Firewall Logdata, Security Bigdata Analysis
Abstract

최근 4차 산업혁명 도래의 기반을 제공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은 산업 전반의 혁신을 견인하는 주요 동력이 되고 있다. 정보보안 영역에서도 그동안 효과적인 활용방안을 찾기 어려웠던 대규모 로그 데이터에 이러한 기술들을 적용하여 지능형 보안 체계를 개발 및 발전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보안 인공지능 학습의 기반이 되는 보안로그 빅 데이터의 품질은 곧 지능형 보안 체계의 성능을 결정짓는 중요한 입력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다양한 제품 공 급자에 따른 로그 데이터의 상이성과 복잡성은 빅데이터 전처리 과정에서 과도한 시간과 노력을 요하고 품질저하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방화벽 로그 데이터 포맷 관련 사례와 국내외 표준 조사를 바탕으로 데이터 수집 포맷 표준안을 제시하여 보안 로그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지능형 보안 체계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 다.

Statistics
Show / Hide Statistics

Statistics (Cumulative Counts from December 1st, 2017)
Multiple requests among the same browser session are counted as one view.
If you mouse over a chart, the values of data points will be shown.


Cite this article
[IEEE Style]
C. Bae and S. Goh, "For Improving Security Log Big Data Analysis Efficiency, A Firewall Log Data Standard Format Proposed,"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vol. 30, no. 1, pp. 157-167, 2020. DOI: 10.13089/JKIISC.2020.30.1.157.

[ACM Style]
Chun-sock Bae and Sung-cheol Goh. 2020. For Improving Security Log Big Data Analysis Efficiency, A Firewall Log Data Standard Format Proposed.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30, 1, (2020), 157-167. DOI: 10.13089/JKIISC.2020.30.1.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