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 네트워크에서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효율적인 거리기반 접근제어

Vol. 22, No. 3, pp. 505-514, 6월. 2012
10.13089/JKIISC.2012.22.3.505, Full Text:
Keywords: Social Network, access control, Privacy
Abstract

싸이월드,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는 개인적인 데이터를 지인들과 공유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이들은 대부분 중앙 집중형 서버를 기반으로 하는데, 이 같은 시스템은 사용자들의 모든 통신 내역이 서버에게 노출된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p2p 시스템에 착안한 분산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와 그 안에서 타인의 데이터에 접근하는 것을 제어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기존의 접근제어 기법에서는 신뢰하는 제 3기관이 필요하거나 프로토콜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들이 온라인 상태여야 하고, 사용자들이 분산된 방식으로 구축한 소셜 네트워크가 서버에게 노출되는 단점이 존재했다. M. Atallah 등은 처음으로 암호학적인 키 관리 기법을 활용해서 기존의 기법들이 지닌 문제점을 모두 해결했지만, 제안된 기법이 매우 비효율적이라는 한계가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 기법이 가진 비효율을 분석하고, 키 관리 기법이 아닌 대칭키 기반의 환형(circular) 암호를 최초로 적용하여 효율적인 접근제어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온라인 상에 구축된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서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분산된 방식으로 제어하고, 서버가 그 네트워크를 추론할 수 없도록 기존의 기법보다 향상된 효율성과 안전성을 제공한다.

Statistics
Show / Hide Statistics

Statistics (Cumulative Counts from December 1st, 2017)
Multiple requests among the same browser session are counted as one view.
If you mouse over a chart, the values of data points will be shown.


Cite this article
[IEEE Style]
S. Jung, D. Kim, I. Jeong, "Efficient Hop-based Access Control for Private Social Network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vol. 22, no. 3, pp. 505-514, 2012. DOI: 10.13089/JKIISC.2012.22.3.505.

[ACM Style]
Sang-Im Jung, Dong-Min Kim, and Ik-Rae Jeong. 2012. Efficient Hop-based Access Control for Private Social Network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22, 3, (2012), 505-514. DOI: 10.13089/JKIISC.2012.22.3.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