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개인정보보호법의 발전방향 제시를 위한 국외 개인정보보호법 분석

Vol. 22, No. 5, pp. 1091-1102, 10월. 2012
10.13089/JKIISC.2012.22.5.1091, Full Text:
Keywords: Privacy Information Acts
Abstract

최근 개인정보침해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어느 때보다 개인정보보호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관심과 요구에 발맞춰 국내에서도 2011년 9월 30일 "개인정보보호법"이 발효되었다. 이 법은 기존에 개별 법률로 규제하던 방식에서 공공기관과 민간기관을 포괄하는 기본 법제로 제정되었다. 또한, 보호 대상의 확대, 고유식별정보 처리의 제한 등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많은 규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국내 개인정보보호법과 국외 주요 국가들의 개인정보보호법의 현황에 대해서 살펴보고, 국내 외 개인정보보호법을 비교분석을 통하여 국내 개인정보보호법의 발전 방향을 제안하였다.

Statistics
Show / Hide Statistics

Statistics (Cumulative Counts from December 1st, 2017)
Multiple requests among the same browser session are counted as one view.
If you mouse over a chart, the values of data points will be shown.


Cite this article
[IEEE Style]
H. You, H. Kim, J. Lee, T. Park, M. Jun, "Analysis on Domestic and Foreign Privacy Information Acts to Suggest Directions for Developing Korean Privacy Information Protection Act,"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vol. 22, no. 5, pp. 1091-1102, 2012. DOI: 10.13089/JKIISC.2012.22.5.1091.

[ACM Style]
Han-Na You, Hyung-Joo Kim, Jae-Sik Lee, Tae-Sung Park, and Moon-Seog Jun. 2012. Analysis on Domestic and Foreign Privacy Information Acts to Suggest Directions for Developing Korean Privacy Information Protection Act.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22, 5, (2012), 1091-1102. DOI: 10.13089/JKIISC.2012.22.5.10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