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기지국에 대한 보안성평가기준 연구

Vol. 31, No. 5, pp. 919-939, 10월. 2021
10.13089/JKIISC.2021.31.5.919, Full Text:
Keywords: 5G, Base station, Security Requirements, Threat modeling
Abstract

5G 네트워크는 차세대 통신기술로서 4G 네트워크 대비 빠른 속도, 짧은 통신 지연, 높은 연결성을 기반으로 대량의 트래픽 처리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로 대두되어 그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5G 네트워크 환경에서 기지국은 그 특성상 높은 밀도로 도심 전역에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악의적인 공격자에 의한 피해가 기지국에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 및 사회 전반에 큰 피해를 줄 것으로 예상된다. 2016년 뉴욕타임즈 기사에 따르면 중국의 특정 서버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백도어로 추정되는 소프트웨어가 미국 내 안드로이드 기기, 자동차와 같은 스마트 기기에 포함되어 있다고 보도되었다. 이후 통신 장비에 백도어 설치에 대한 이슈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었으며, 5G 기지국과 같은 통신장비에 대한 안전성 확보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5G 기지국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방법론인 위협모델링을 사용하여 도출한 보안기능요구사항과 백도어 이슈에 대응할 수 있는 수준의 보안보증요구사항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보안요구사항은 5G 기지국에 대한 보안성평가기준으로서 안전한 네트워크 환경을 구성하기 위한 기지국 설계 및 개발에 사용될 수 있다.

Statistics
Show / Hide Statistics

Statistics (Cumulative Counts from December 1st, 2017)
Multiple requests among the same browser session are counted as one view.
If you mouse over a chart, the values of data points will be shown.


Cite this article
[IEEE Style]
홍바울 and 김승주, "5G 기지국에 대한 보안성평가기준 연구,"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vol. 31, no. 5, pp. 919-939, 2021. DOI: 10.13089/JKIISC.2021.31.5.919.

[ACM Style]
홍바울 and 김승주. 2021. 5G 기지국에 대한 보안성평가기준 연구.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31, 5, (2021), 919-939. DOI: 10.13089/JKIISC.2021.31.5.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