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기반보호시설의 보안관제 방안에 관한 연구

Vol. 25, No. 2, pp. 279-292, 4월. 2015
10.13089/JKIISC.2015.25.2.279, Full Text:
Keywords: SCADA, IDS, firewall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기반보호시설 내부에서 발생 가능한 악성코드를 효과적으로 탐지 할 수 있는 네트워크 보안관제 모델을 제안하였고, 제어시스템 운영환경과 유사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취득된 데이터를 상세 분석하여 보안관제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탐지요소 개발과 보안관제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된 네트워크 보안관제 모델이 효과적으로 이상 트래픽을 탐지 가능함을 실증하였다.

Statistics
Show / Hide Statistics

Statistics (Cumulative Counts from December 1st, 2017)
Multiple requests among the same browser session are counted as one view.
If you mouse over a chart, the values of data points will be shown.


Cite this article
[IEEE Style]
J. Jang, W. Kim, J. Yoon, "A study on the managed security services(MSS) method for energy-based SCADA System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vol. 25, no. 2, pp. 279-292, 2015. DOI: 10.13089/JKIISC.2015.25.2.279.

[ACM Style]
Jeong-Woo Jang, Woo-Suk Kim, and Ji-Won Yoon. 2015. A study on the managed security services(MSS) method for energy-based SCADA System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25, 2, (2015), 279-292. DOI: 10.13089/JKIISC.2015.25.2.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