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접근제어가 가능한 키워드 검색 기법

Vol. 19, No. 5, pp. 35-44, 10월. 2009
10.13089/JKIISC.2009.19.5.35, Full Text:
Keywords: keyword search, Privacy, Encrypted data, access control, PIR(Privacy information retrieval)
Abstract

민감한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하지만 복호화 과정 없이 암호화된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암호화된 데이터에서 검색이 가능한 효율적인 기법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수많은 검색 가능한 암호화 기법이 제안되었지만, 아직까지 이러한 기법들은 암호화된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해 접근 권한을 갖고 있는 동적인 사용자(dynamic user)에 대해서 적합하지 않다. 기존의 검색 가능한 암호화 기법들에서는 특정 사용자(대칭키 환경에서의 데이터 제공자, 공개키 환경에서 데이터를 암호화한 공개키에 대응되는 비밀키를 갖고 있는 사용자)에 대해서만 암호화된 데이터에 접근이 가능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tephen S. Yau 등은 데이터 공급자의 접근 정책에 따라서 사용자의 검색 능력을 제어할 수 있는 기법을 처음으로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 기법은 데이터 검색자의 프라이버시가 노출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 기법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접근제어가 가능한 키워드 검색 기법을 제안한다.

Statistics
Show / Hide Statistics

Statistics (Cumulative Counts from December 1st, 2017)
Multiple requests among the same browser session are counted as one view.
If you mouse over a chart, the values of data points will be shown.


Cite this article
[IEEE Style]
G. Noh, J. Chun, I. Jeong, D. Lee, "Privacy Preserving Keyword Search with Access Control based on DTL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vol. 19, no. 5, pp. 35-44, 2009. DOI: 10.13089/JKIISC.2009.19.5.35.

[ACM Style]
Geon-Tae Noh, Ji-Young Chun, Ik-Rae Jeong, and Dong-Hoon Lee. 2009. Privacy Preserving Keyword Search with Access Control based on DTL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19, 5, (2009), 35-44. DOI: 10.13089/JKIISC.2009.19.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