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 플랫폼 환경에서의 스미싱 차단에 관한 연구

Vol. 24, No. 5, pp. 975-986, 10월. 2014
10.13089/JKIISC.2014.24.5.975, Full Text:
Keywords: Smishing, Malware, RIL, LKM
Abstract

스마트폰을 사용한 전자금융거래가 증가하면서, 스마트폰을 대상으로 하는 새로운 위협들이 증가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최근, 가장 위협이 되고 있는 스미싱은 갈수록 수법이 교묘해지고, 다양해지고 있다. 금융기관들은 증가하는 스미싱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알 수 없는 출처"의 설정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설치를 차단하는 방법과 스미싱 탐지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권고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대응방안이 갖고 있는 한계적 문제로 인해 효과적으로 스미싱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RIL(Radio Interface Layer)에서 사용자 기기에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수집하고, DB(Database) 내에 문자메시지가 저장되었는지 검사하여, 악성코드의 설치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커널레벨에서의 시스템 콜 후킹을 통해 악성코드가 전송하는 문자메시지를 차단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실제 구현을 통하여 기기에 적용이 가능함을 증명하였다.

Statistics
Show / Hide Statistics

Statistics (Cumulative Counts from December 1st, 2017)
Multiple requests among the same browser session are counted as one view.
If you mouse over a chart, the values of data points will be shown.


Cite this article
[IEEE Style]
S. Lee, H. Kang, J. Moon, "A Study on Smishing Block of Android Platform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vol. 24, no. 5, pp. 975-986, 2014. DOI: 10.13089/JKIISC.2014.24.5.975.

[ACM Style]
Si-Young Lee, Hee-Soo Kang, and Jong-Sub Moon. 2014. A Study on Smishing Block of Android Platform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24, 5, (2014), 975-986. DOI: 10.13089/JKIISC.2014.24.5.975.